컨텐츠 바로가기
CLOSE

시설안내

식물을 키우면서 궁금했던 점들,
잠깐 들러서 물어봐주세요!
정원상담소
서울식물원에서 답해드립니다:)

식물·병해충 관리 등 기술상담,
실내외 정원 설계 조성·관리 컨설팅,
가정원예, 반려식물 컨설팅 등
맞춤형 상담소를 운영 중입니다.

Q87. 다육식물 알아보기

  • 작성일 2024.02.08
  • 조회수 501
GARDENING TIME 식물공부 6호 다육식물 A succulent plant
서울식물원 정원지원실 검색 https://botanicpark.seoul.go.kr
다육식물이란?
잎 또는 줄기 속의 물을 저장하는 저수 조직이 발달하여 두껍게 다육화된 식물로서 건조한 지역이나 염도가 높은 지역과 같이 척박한 환경을 견디기 위해 진화하였습니다. 다육식물에는 선인장, 유포르비아속, 칼랑코에속 등이 포함되며, 난과 식물처럼 특정한 과나 속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줄기와 잎이 다육화 된 식물 전반을 통칭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아프리카, 아메리카 지역을 비롯한 온대, 열대 지역에 분포하나 드물게 한대 지역에 자생하는 종류도 있습니다.
식물 잎의 변형: 식물의 잎은 광합성 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변형되기도 한답니다.
다육성 잎: 물, 영양물질 저장
눈비늘: 눈 보호
포: 수분매개자 유인
덩굴손: 지지작용
가시: 보호작용
포충엽: 동물 유인, 포획 및 소화
다육식물 키우기
일반적으로 다육식물은 햇볕이 충분하고 습도가 낮으며, 일교차가 크고 통풍이 잘 되는 기후에서 주로 자생합니다. 특히 다육식물 특유의 두꺼운 잎과 줄기는 식물체가 건조하고 척박한 환경에 적응한 결과로서 내건성이 우수하여 생장에 아주 많은 물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속흙까지 건조했을 때 또는 식물 잎이 쪼그라드는 등 건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 대신, 한 번 물을 줄 때는 반드시 배수구멍을 통해 물이 빠져나올 정도로 ‘흠뻑’ 주어야 합니다. 다육식물의 생애는 ‘생장기’와 ‘휴면기’로 나뉘는데, 생장기를 맞는 계절에 따라 여흠형, 춘추형, 겨울형으로 구분됩니다. 휴면기에는 식물이 생장하지 않아 필요한 물의 양이 적으므로 관수 주기를 늘려 과습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다육식물 관리하기
다육식물은 과습에 취약하므로 입자가 크고 배수성이 좋은 토양에 심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육식물을 기르는 용도로 조합된 다육식물 전용 토양이나, 상토와 모래, 펄라이트, 화강토(마사토)를 3:7 비율로 섞어 사용합니다. 가시가 있는 식물을 다룰 때는 반드시 장갑을 껴 주세요. 다육식물의 경우 추가적인 시비가 필수는 아니지만, 생장기 초반에 고체 알비료를 사용하면 생장 시기에 맞게 비효가 지속되어 더욱 잘 자라게 됩니다. 몇몇 다육식물의 잎은 붉게 단풍이 들기도 하는데, 이때 예쁘게 색을 입히려면 광, pH, 온도, 양분 등을 신경써주어야 합니다. 특히 다육식물의 잎 색은 빛이 강할 때 나타나며 10도 가량의 낮은 온도에서 착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육식물 번식하기
종자를 통해서도 번식할 수 있으나, 생육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일반적으로 영양생식 방법 중 꺾꽂이(삽목, 엽삽)과 포기나누기(분주)를 이용합니다. 그밖에도 이어붙이기(접목)을 통해 접목 선인장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꺾꽂이: 식물 조직이 상처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다른 기관으로 분화하는 성질을 이용한 번식법으로 봄과 여름에 진행하며, 일반적으로 식물체의 잎이나 줄기를 이용합니다. 에케베리아, 세덤, 선인장 등에서 활용합니다.
포기나누기: 식물체를 뿌리와 함께 두 개 이상의 작은 조각으로 쪼개는 것을 말하며, 봄과 여름에 진행합니다. 가스테리아, 산세베리아, 알로에 등에서 활용하는 번식 방법입니다. 
영양생식: 잎, 줄기, 뿌리와 같은 영양기관을 통해 번식하는 방법으로 무성생식의 일종
다육식물 꺾꽂이
1.	삽수 채취 및 모래 담기. 이때, 가위는 반드시 에탄올을 이용해 깨끗이 소독해주세요. 식물병의 전염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2.	삽수를 2~3일 정도 말린 후 모래에 심어주세요. 잘 말리지 않으면 식물체가 무를 수 있어요. 바람이나 직사광선을 피하고, 온도 변화가 크지 않도록 해주세요.
서울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 다육식물들
세잎꿩의비름(돌나물과), 에케베리아 ’라올린사’(돌나물과), 꽃기린(대극과), 채운각 ’루브라’(대극과)
서울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 다육식물들
하워르티아 트룽카타(크산토로에아과), 하워르티아 레인와르티(크산토로에아과), 가스테랄로에 ’원더’(아스포델루스과), 산세베리아(비짜루과)
	서울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 다육식물들
바오밥나무(아욱과), 리톱스(C362)(번행초과), 금호선인장(선인장과), 스타펠리아 빌레티아이(협죽도과)
다육 식물에 관한 궁금증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지금 정원지원실에서는 한국 고유의 식물문화와 특산식물을 소개하는 ‘꽃도사의 비밀정원’ 전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꽃도사의 정원을 둘러보고, 무료 정원 상담도 받아보세요.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로 161 식물문화센터 1층 정원지원실 화요일~일요일 10:00~17:00 공휴일 제외